축사 단열적용


선경하우징은 여러분에게 쾌적한 주거 생활을 위해 이바지 할 것입니다.

홈 > 선경폴리우레탄폼 > 축사 단열적용

축사 단열적용

돈사

선경수성연질폼 장점 : 돈사 계사 버섯사 등에 적용되는 수성연질폼은 단열시 열전도율이 낮아 손실이 없다.

일반우레탄폼과의 차이점

- 무해 무독성이며 친환경적이다. - 선경 수성발포 연질폼은 자기소화성을 가지고 있어 화염이 퍼지지 않는다. -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이며 독성이 없다. -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 하지 않아 만일의 경우 신뢰 할수 있다.

돈사 시설관리 주안점

1. 머리말 돈사 시설은 돼지가 입식되는 시점부터 관리를 잘 하지 않으면 급격하게 노후되는 현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질병 전파의 매개체인 쥐의 서식처를 제공하거나, 분뇨의 처리 미비로 인한 돈사 내 시설물의 부식 등으로 인하여 양돈장에 피해를 안겨주고 심지어는 돈사의 수명연한을 짧게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므로 환절기 시점에서 보온 및 환기시설의 점검은 아주 중요하며, 향후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점검 및 관리를 수시로 하는 농장에서는 생산성 향상은 물론 내구 수명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돈사 시설 및 기자재 관리에 있어서 항상 유의해야 할 돈사시설 점검 및 관리부분의 중점 사항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 돈사 외부 시설관리 돈사 외부 시설관리는 단열부분으로써, 단순히 열의 전달계산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어떻게 단열재로 침투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돈사에서 자동설비도 중요하지만, 환기와 단열을 제대로 해 준다면 동절기에 난방비와 사료비의 절감이 크고, 하절기에는 고온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예방과 출하시기 단축 등의 큰 효과로 인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는데, 특히 이상고온 현상에 의한 엄청난 손해는 바로 단열과 환기시설이 잘못되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지붕이나 벽체의 단열은 완벽해야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표 1 참조). 개방돈사일 경우 윈치커튼을 설치하고 벽체부분이 얼마남지 않는다 해도 윈치커튼을 제외한 부분에는 단열처리가 되어야 한다. 가. 외부 단열보완 무창돈사를 제외한 돈사에서 기존 스레이트나 보온덮개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그대로 둔 채 외부에서 단열보완을 해 주는 공법으로 돈사가 오래되어 지붕판을 교체할 경우와 누수가 될 경우 단열이 부족한 경우에 폴리우레탄 폼으로 스프레이 해 주면 좋은데 단열두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화재의 위험도 없다. 단, 외부 노출시 자외선에 노출되어 칼라변색이 나타나므로 보호코팅을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지붕 위에 시공해도 가볍고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나. 천장 또는 지붕의 단열 돈사에서 방열 손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천장이고, 다음이 벽과 바닥이다. 따라서 추위와 더위를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천장과 지붕의 단열이며, 건축비를 고려하여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다. 기존 축사 단열보수 현재 시공된 개방돈사의 대부분은 단열치가 낮은데, 돈사의 단열 보수방법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보온덮개일 경우 덧씌우기를 하여 보수처리가 가능하다 해도 구조물에 미치는 하중을 감안해야 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존 돈사에 돼지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단열보수가 가능한 폴리우레탄 현장발포 방법으로의 보완이 가능하므로 단열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3. 돈사 내부 시설관리 돈사 내부 시설로는 급이기, 급사기 및 바닥재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서는 단열재의 관리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가. 천장 단열 지붕은 단열처리를 하지 않고 천장만 단열처리를 한 경우, 겨울에는 천장과 지붕사이의 공간을 이용한 공기유입이 가능하지만, 여름철에는 천장과 지붕사이의 공간이 햇빛에 데워지므로, 처마 밑으로 들어온 공기를 천장 위의 공간에서 분배하려면 단열덕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천장의 단열을 고려한다면 먼저 지붕단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나. 이슬 맺힘 방지 돈사 내의 절대습도는 항상 실내보다 많아 벽을 통하여 수증기가 적은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경향이 있다. 만약 벽 재료인 단열재에 돈사내의 수증기가 침투하여 벽체의 내부 온도가 이슬점 온도로 떨어지게 되면 그곳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렇게 물방울이 단열재를 적시게 되면 열전도율은 증가하게 되고, 이슬점온도 되는 면은 점점 안쪽 벽면에 가까이 접근하게 되어 이슬 맺히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전도로 전달되는 열은 더욱 증가하여 단열효과가 줄어든다. 단열재가 습기를 빨아들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단열재의 고온 다습한 쪽의 방습재료를 시공하여 수증기의 투과를 방지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돈사 내의 수증기는 방습제에서 멈추게 되고, 바깥으로부터 벽으로 침투하는 수증기는 돈사 내에서 나오는 열로 가열되므로 대기보다 상대습도가 낮아져서 단열재 내부에서 이슬이 맺히는 일은 없게 된다. 그러므로 방습제를 단열재의 외벽측(저온측)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 창 겨울은 열이 빠져나가는 것은 심하고, 여름은 강한 햇볕으로 온도가 높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최소한이 면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라. 문 출입구에 설치된 문은 의외로 단열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철제 셔터문은 아무리 벽과 창의 단열성을 좋게 하여도 전체의 단열효과가 없게 하는 구조이다.

4. 돈사 환기휀 관리 돈사 시설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시설물은 환기휀으로써, 현대화된 모든 기계식 돈사는 환기휀에 의하여 환기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환기휀의 관리는 농장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문제로 항상 수시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차후 환기휀을 교체할 때 환기휀 선정방법과 관리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가. 환기용 휀의 선택 환기휀은 대부분의 돈사환기 시스템에 없어서는 안될 핵심 기계이다. 그러므로 휀을 잘 알지 못하고서는 기계식 환기 시스템을 제대로 구성할 수도 없고 잘 관리할 수도 없다. 그리고 휀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적합한 휀을 결정할 수도 없고 성능을 유지할 수도 없는데 환기용 휀의 송풍량은 휀 앞뒤의 압력차이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어진 정압에서의 송풍량은 매우 중요하다. 송풍량은 휀 앞뒤의 특정 압력차이에서의 CMM(m3/분)으로 나타내는데, 미국이나 유럽제품은 인치 단위인 cfm(ft3/분)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런데 국내에서 농업용 휀의 경우는 정압의 표시없이 압력이 걸리지 않을 때의 최대값 만을 표시한 휀이 많으므로 구입시에 이를 꼭 확인하여야 한다(표시된 환기량의 75% 전후를 실제 환기량으로 봄). 특히 휀의 성능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감소한다. 그리고 휀에는 반드시 셔터를 설치하여야 하며, 셔터를 설치하였을 때는 실험 (표 2)와 같이 풍량이 감소한다. 이 때 사용자가 유의할 점은 셔터는 많은 양의 풍량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알아두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최소환기 5% 전후라 하더라도 역풍이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후에서 현장 확인결과, 현재 보급되어 있는 환기조절기의 최소 환기율을 25% 전후로 해 주어야만 역풍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나. 휀의 관리 돈사에서 사용하는 휀은 높은 먼지농도, 높은 습도, 쇠를 녹슬게 하는 가스 등 매우 취약한 환경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휀의 날개와 셔터(shutter) 휀박스 등에 먼지가 달라붙으면 풍량이 최대 40%까지 감소하며, 평균 20% 전후 감소한다. 휀에서 나오는 바람 양의 감소는 곧 환기량의 부족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휀 셔터 휀박스는 최소한 매월 1회 이상 먼지를 털어 주어야 한다. 모터 외부에 먼지가 두껍게 쌓이면 모터의 냉각능력이 떨어져 모터 과열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셔터는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연결 축에 윤활유를 쳐주어야 한다. 또한 속도 자동감응 조절휀의 온도감지 센서도 부식되거나 먼지가 쌓이면 감지능력이 감퇴한다. 그러므로 먼지의 집적으로 센서의 역할을 못할 수도 있으므로 마른 수건으로 닦아주어야 하며, 감지장치나 컨트롤 박스도 먼지나 가스로부터 잘 관리 해 주어야 한다. 다. 비상시 환기 모든 인공제어 환경관리 체계 돈사는 항시 여러 가지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동물의 질식사 방지를 위한 완벽한 비상시 환기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인공제어 환경관리 돈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은 정전에 의한 입기와 배기의 중단, 온도감지 자동작동장치 고장에 의한 냉·난방의 과부족, 공기순환 불균일에 의한 부분적 장소의 환경 부적응 등 많은 것은 있으나, 비상시 관리대상은 정전시 입·배기의 중단에 의한 질식사로 한다. 따라서 입·배기 중단시 해줄 수 있는 통기구를 설치하고 신속히 열어 주는 수밖에 없다. 이 통기구(창문)를 열어주는 방법에는 인력(기계장치 포함)으로 하는 방법과 전기력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비상시를 신속히 알리는 장치가 부수적으로 꼭 필요하다.

5. 결론 양돈장 시설의 점검 및 관리방법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농장 관리자가 돈사 내에 출입을 자주 하여 기계적인 부분 즉, 환기휀, 급이기, 급수기 등의 이상유무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설물들의 세심한 수시 점검을 하여야 한다.

1. 합리적인 돈사시설

친환경돈사

가) 돈사시설의 조건 양돈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종돈(種豚), 사료(飼料), 사양관리, 돈사시설의 4가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돈사시설을 제외한 다른 세 가지 요인은 변동이나 개선이 쉽고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비교적 단시일에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돈사시설의 경우에는 그 배치나 구조가 잘못되면 개조하기도 대단히 어려울 뿐 아니라 그 농장의 경영형태와 사육규모, 사양관리 시스템, 분뇨처리 방식 등 다른 요인까지 연쇄적으로 제약하게 되므로 양돈장 경영에 있어 돈사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막중하다고 할 수 있다. 돈사시설은 돼지가 직접 생활하는 공간으로서 돼지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최고의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지어진 건물로서 돼지의 생리에 맞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하며 관리자의 작업조건이나 효율, 양돈장으로서의 경제성 등을 동시에 지녀야 한다. 이런 돈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첫째, 돼지가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둘째, 작업이 간편하고 이동 거리가 짧아 노동효율이 좋으며 셋째, 저렴한 비용으로도 튼튼하며 수명이 길어 경제적이고 넷째, 돼지와 관리자 모두에게 안전한 구조이며 다섯째, 분뇨처리가 완벽하며 냄새나 해충 발생 등 타인이나 다른 산업,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사회성을 지녀야 한다. 나) 돈사구조와 환경 양돈규모가 커지고 건축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파이프 골조로된 보온 덮개 돈사로부터 완전히 기계화된 무창돈사에 이르기까지 돈사의 구조나 설비, 기능이 매우 다양화되어 있다. 그러나 모돈 돈사의 기본기능은 돼지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며 돈사의 특징을 충분히 파악하고 돼지의 생리에 맞게 잘 운영할 필요가 있다. (1) 돈사의 환경과 입지조건 돈사의 환경은 기상상태나 기후 변화에 크게 지배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나 입지조건이 좋은 곳일수록 유리하게 된다. 돈사의 입지조건으로는 주변보다 높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로서 배수가 양호한 곳이 바람직하다. 또 가까운 곳에 다른 축사가 있거나 민가 근처는 피하여야 하며 농경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 좋다. (2) 돈사의 배치 돈사는 동서로 길게 지어 남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으며 돈사간 돼지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동거리가 짧고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입구 가까운 쪽에 육성사를 배치하는 것이 방역상 유리하며 출하 할 때도 편리하다. 돈사간격은 개방식 돈사인 경우 돈사의 폭 만큼 띄워 주어야만 환경관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무창돈사도 충분한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돈사에 투자되는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돈방을 부족하게 시설하면 사육관리에 무리가 오게 되므로 특히 다른 돈사로는 대치가 어려운 분만돈방 만이라도 여유 있게 (10%정도) 확보하여야 된다. (3) 돈사의 구조와 환경조성 ○ 번식돈사 임신돈은 스톨(stall)에 수용하는 것이 개체관리가 용이하고 사육 두수를 늘릴 수 있어 효과적이지만 이유모돈은 4∼6두씩 군사수용을 하여 발정재귀를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스톨돈사는 사육밀도가 높기 때문에 하절기에 고온스트레스를 받기 쉬우므로 안개분무나 송풍 닥트(Duct) 등의 방서시설이 필수적이다. ○ 분만사 분만돈사는 생리가 전혀 다른 두 종류의 가축(모돈과 자돈)을 동시에 수용해야 하고 실내 환경변화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최근에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무창돈사를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겨울에만 밀폐하고 여름에는 벽을 개방하는 준무창돈사(Semi-windowless)도 보급되고 있다. 분만돈방은 분만틀을 설치하되 모돈과 자돈의 적온이 크게 다른 만큼 자돈을 위한 별도 공간(보온상자는 바닥 보일러)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돈사의 실내온도는 모돈의 적온에 맞추어 16∼18℃를 유지하되 자돈이 있는 구역은 자돈의 일령과 체중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정해 나가야 한다. 분만돈사는 올인 올 아웃(All in - All out) 이 가능하도록 작은 그룹으로 구분해 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 자돈사와 육성 비육사 돼지가 성장함에 따라 체온의 조절기능도 점차 발달하여 생활 온도 영역이 넓어진다. 그러나 자돈의 경우에는 여전히 매우 높은 환경 온도가 요구되므로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는 추가 보온을 해줄 필요가 있다. 최근에 수용밀도를 높이고 관리 개선을 위해 자돈 케이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보온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환기가 불량해져 오히려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실내온도와 환기상태가 잘 조화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육성비육사는 온도관리 보다도 환기가 더욱 중요하므로 되도록 개방형으로 짓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 돈방당 수용 두수를 적절히 조정하여 밀사로 인한 발육지연과 사육효율저하, 호흡기 질병발생 등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자돈사와 육성 비육사는 제분작업과 사료급여 같은 힘들고 지저분한 작업이 많으므로 기계화 시설을 하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돼지의 적정 수용두수>

구 분

체 중

(㎏)

두당 최소 사육 공간(㎡)

돈방당 두수

(두)

평 바 닥

Slat

이유자돈

4∼11

0.37

0.25

20∼30

육 성 돈

11∼18

0.55

0.28

20∼30

18∼45

0.73

0.37

비 육 돈

45∼68

0.92

0.55

10∼15

68∼95

1.10

0.73

미경산돈(비임신)

113∼136

1.38

1.10

6∼12

경 산 돈(비임신)

136∼227

1.65

1.38

6∼12

미경산돈(임 신)

-

1.56

1.29

6∼12

경 산 돈(임 신)

-

1.65

1.38

6 이하

다) 무창돈사의 시설소개

최근들어 선진 외국으로부터 올인 올 아웃 시스템, 3단계 격리 사육(3-site system)등 새로운 돈사시설의 개념과 그 시설재들이 속속 수입될 뿐 아니라 여기저기서 현대식 무창돈사들이 건축되고 있다.

(1) 돈사의 구조와 배치

무창돈사라고 해서 그 구조나 배치가 일반돈사와 달라야 할 이유는 하나도 없다. 모든 돈사는 첫째, 방역(防疫)체계, 둘째, 작업의 효율성, 셋째, 분뇨처리체계에 맞추어 설계·배치되어야 한다.

○ 방역(防疫)체계

농장의 입구 쪽으로부터 비육, 육성, 자돈, 분만, 번식의 순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입구 쪽에 구입종돈 격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돈사간의 간격도 옆돈사에서 배출하는 가스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최소 6m 이상으로 충분히 띄워 주어야 한다. 가장 쉽고 기본적인 원칙임에도 불구하고 이 배치 자체가 뒤죽박죽으로 된 농장이 의외로 많다.

○ 작업의 효율성

관리자의 작업시 움직임(動態)이 짧아야 하고, 돼지의 이동이 쉽고 편리해야 하며, 좁은 면적에 많은 돼지가 경제적으로 사육되어야 한다. 가급적 많은 작업이 기계화되어야 하고, 성력화(省力化)구조로서 All in - All out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 분뇨처리체계

위에 언급한 무창돈사의 특성상 All in - All out 시스템의 채택이 필수적이므로 분뇨처리체계 역시 슬러리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2) 무창돈사의 건축

○ 무창돈사의 단열

무창돈사에서의 단열과 밀폐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자료에 의해 익히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건축과정에서 이를 얼마나 잘 지키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적정단열계수 (무창돈사)>

구 분

벽 체

지 붕

단 열 (R치)

14

25

*. R치 : 스치로폴 1인치당 4∼5, 우레탄품 1인치당 6.25, 그라시울 1인치당 2.5∼3.0

○ 무창돈사의 환기

무창돈사라는 말 자체가 창문을 통하지 않고 기계에 의해 환기되는 돈사라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서 환기시스템은 두말할 필요 없이 무창돈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공기의 흐름을 정확히 안다는 것 자체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이므로 돈사내부 공기의 신선함, 실내온도와 습도 등이 잘 조화되도록 환기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 무창돈사의 냉·난방

무창돈사의 보온은 보일러나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돼지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설을 갖추면 되지만 오히려 냉방은 매우 어렵다. 특히 우리의 여름철은 고온다습하기 때문에 환기량이 느려 공기유속을 빨리 해 주는 것 이외에는 뚜렷한 냉방대책이 없는 형편이다. 그래도 단열이 덜 된 일반돈사에서 보다는 체감온도가 매우 낮게 유지되므로 돼지에게 주는 피해가 적다.

○ 무창돈사의 습도관리

무창돈사에서는 팬에 의해 항상 적정환기가 이루어지는 바(적정환기상태라도 일반돈사에서 보다 공기의 흐름량이 매우 많다.) 여름을 제외하고 가을부터 봄까지 돈사 실내가 쉽게 건조하게 된다. 적절한 가습대책으로는 안개분무(mist spray)방식이나 복도에 물이 고이게 하는 방식 등이 널리 사용된다.

2. 돈사시설의 설계기준

가) 사양기준

돈사시설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설별 사양지표를 선정하여야 한다. 즉, 사양기술지표, 시설사용지표, 돈방별 소독일수, 그리고 사양관리기준 등을 선정하여야 한다.

<사양기술지표의 기준>

항 목

지 표

지표기준

적 용

모돈 회전율

2.2회

2000년대 기술지표

(축협중앙회)

개방돈사 : 2.2회

무창돈사 : 2.4회

복당 산자수

10두

"

10두

복당 이유두수

9.6두

"

9.6두

출하 육성율

(이유두수비)

98.5%

"

98.5%

모돈두당

연간 비육돈 출하두수

21두

"

21두

출하체중

110kg

"

110kg

출하일령

180일

축산기술연구소

180일

모돈 연간 교체율

30%

기본축 대비비율

30%

후보돈 선발율

80%

후보돈 입식두수 대비

80%

웅돈보유두수

종빈돈 17두당 1두

종부이용기간:3세

초종부수수정율80%

<시설 사용지표에 관한 기준>

사육단계별

사용일수(일)

지표기준

웅돈방

365

모돈

스톨

임신돈 수용기간

107

종부후부터 분만예정일 7일전까지

군사

이유모돈 수용기간

10

평균 종부일

후보돈 사유기간

90

분만돈사

대기기간

7

분만예정일 7일전

포유기간

21

자돈방 사육기간

46

육성돈방 사육기간

53

비육돈방 사육기간

60

<돈방별 소독일수에 관한 기준>

사육단계

임신돈사

분만돈사

자돈사

비육전기

(육성)돈사

비육후기돈사

소독일수(일)

3

7

3

3

3

나) 환경설계기준

○ 환기설계기준

돼지의 건강과 생산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돼지에게 항상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축사 내부의 과도한 습기와 유해가스를 제거해야 하고, 고온의 경우 고열을 축사밖으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요소를 배출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쉽고 보편적인 방법은 환기를 하는 것이다.

환기방식에는 자연환기방식, 강제환기방식, 그리고 조합환기방식이 있다. 돈사내에서의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자연환기방식은 자연력(풍력과 공기의 부력)에 의존하며, 강제환기방식은 기계력(휀)에 의존한다. 조합환기방식은 상황에 따라 자연력 또는 기계력에 의존하는 방식을 말한다. 열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육성·비육돈, 임신돈 및 후보돈, 그리고 웅돈 등이 사육되는 돈사에는 자연환기방식(개방돈사)을 적용하며, 반면에 열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분만돈(포유자돈 포함)과 이유자돈이 사육되는 돈사에는 강제환기방식(무창돈사)을 적용한다.

○ 냉난방설계기준

우리 나라의 기후에서는 수퇘지방, 분만돈방의 모돈구역, 임신돈방의 경우 바닥난방을 하지 않아도 된다.

다) 돈방설계기준

돼지에게 안락한 활동공간과 위생적인 생활공간, 그리고 편안한 채식과 음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돈방을 설계해야 한다. 돈방이 돼지에게 안락하고 위생적인 활동공간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만족되어야 한다.

○ 적정한 돈방면적이 부여되어야 한다.

○ 바닥은 너무 경사지지 않아야 한다.

○ 접촉감이 좋아야 한다.

○ 모든 구조물은 안전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 항상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 배변, 휴식, 채식, 음수 등의 공간이 구분되도록 한다.

(1) 돈방 면적 기준

돈방 면적은 축협중앙회의 권장치, 미국 중서부의 권장치, 축산기술연구소의 권장치 중에서 어느 값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나 가능한 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돈방규격 기준>

구분

축사표준설계도

미국의 추천면적

축산기술연구소

규격

(m)

면적

(㎡/두)

규격

(m)

면적

(㎡/두)

규격

(m)

면적

(㎡/두)

웅 돈

-

9.72

-

3.7∼5.5

3.2×2.4

7.36

모돈

스톨

임신돈

2.2×0.65

1.43

2.13×0.6

1.3∼2.2

2.2×0.65

1.43

군사

종부대기돈

-

3.1

-

2.2∼3.7

3.2×4.0

(5두)

2.56

후보돈(군사)

-

3.1

-

1.3∼1.8

3.2×3.4

(6두)

1.82

분만돈방

대기모돈

2.4×1.7

(내치수)

4.08

-

2.7∼4.4

2.4×1.6

3.84

포유모돈

자 돈 방

-

0.3

-

0.15∼0.37

2.4×1.4

(11두)

0.3

육성돈방

-

0.6

-

0.46∼0.55

3.6×2.5

(15두)

0.6

비율돈방

-

0.9

-

0.74

5×3

(15두)

1.0

(2) 돈방바닥 설치 기준

돈방바닥의 형태는 배변장과 휴식장의 높이가 동일한 형태, 휴식장보다 배변장의 높이가 10㎝ 정도 낮은 형태, 돈방 바닥의 전부분이 슬랏인 형태(완전슬랏바닥), 그리고 콘크리트와 슬랏을 조합한 형태(부분슬랏바닥)로 분류할 수 있다. 이 4가지 형태 중 완전슬랏바닥과 부분슬랏바닥이 양돈산업의 고도성장, 사회적 여건의 변화, 인건비의 상승, 그리고 분뇨처리의 기계화 등 양돈환경의 변화로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3) 분만돈방의 설계

분만돈방은 분만과 포유가 이루어지고 모돈과 자돈이 함께 생활하며, 때로는 일정기간 이유자돈의 사육장소로 이용되는 시설이다. 이곳에서 사육되는 모돈과 자돈이 요구하는 열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분만돈방의 일부에 자돈의 보온을 위한 자돈 전용 생활공간이 구분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분만돈방 하나의 크기는 모돈의 크기, 포유 기간, 난방 방법 등에 따라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달라진다. 분만돈방의 폭은 포유 기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즉 3∼4주령에서 이유할 경우 220㎝, 5주령에서 이유할 경우 240㎝ 정도로 설계된다.

분만돈방의 바닥은 모돈 젖꼭지에 오수와 뇨가 묻지 않도록 경사를 주어 오수와 뇨가 돈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해야 하며, 이 때 경사도는 1/24 이하로 한다.

(4) 임신돈방과 웅돈방의 설계

임신돈은 분만예정일의 일주일 전까지 임신 스톨에서 주로 관리되고 있으며, 임신 스톨은 통풍이 잘 되고 옆의 돼지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웅돈방은 대부분 종부 장소로 이용되기 때문에 충분한 면적으로 설계하여야 하며, 특별히 운동장이 있는 경우에는 면적을 약간 적게 하여도 된다. 웅돈방과 웅돈방간의 벽은 막힘벽으로 하며, 벽의 높이는 140㎝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5) 육성·비육돈방의 설계

자돈방은 자돈을 육성돈방 또는 육성·비육돈방으로 옮기기 전까지의 돼지를 사육하는 돈방을 말하는데, 이곳에서 보통 이유부터 체중 30㎏까지의 돼지가 사육된다.

소규모 양돈장에서는 육성돈방(육성돈사)과 비육돈방(비육돈사)을 구분하지 않고 한 돈사내에서 사육하는 경우가 많으나 육성돈과 비육돈은 요구되는 열환경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으로 가능한 한 별개의 돈사로 구분하여 사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랏바닥돈방은 가로대 세로의 비율은 1:2.5∼1:3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부분슬랏바닥돈방의 경우 콘크리트면적 대 슬랏면적의 비율은 2.4∼2.6:1이 되도록 설계하며, 콘크리트바닥의 경사도는 1/24∼1/16로 하고 슬랏바닥은 콘크리트바닥보다 2.5∼3.0㎝ 낮게 설계한다.

급수기는 휴식장에서 가장 멀고 돈분제거 통로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급수기를 설치할 때 돼지가 성장함에 따라 급수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급수기의 각도는 물의 낭비를 막아 오수량을 줄이기 위하여 45도 정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사조는 통로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1돈방당 수용단위는 1복단위를 기준으로 하며, 돈사내 통로의 폭은 1m 정도로 설계한다.

라) 돈사설계의 예

(1) 전제 조건

사육규모는 주간 8복을 기준으로 하며, 돈사는 교배·임신 → 분만 → 자돈 → 육성·비육의 사육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교배·임신돈사, 분만돈사, 자돈사, 그리고 육성·비육돈사로 구분한다. 사양방식은 주간 단위의 작업과 올인올아웃(ALL-IN, ALL-OUT) 생산시스템을 기준으로 한다.

<주간 8복 규모시설의 전제 조건>

구 분

시 설

사양방식

급사

급수

분뇨처리

돈사종류

교배·임신돈사

전자동

니플

슬러리

무창돈사

주간 단위의 작업,

주간8복

ALL-IN ALL OUT 생산시스템

분만돈사

반자동

습식급이

슬러리

무창돈사

자돈사

반자동

니플

슬러리

무창돈사

육성·비육돈사

전자동

니플

슬러리

무창돈사

(2) 돈방수 산출

○ 상시 모돈수 산출

상시 모돈수는 주간 8복과 모돈 회전율 2.4회(무창돈사)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8복/주 × 52주/년) / (2.4복/모돈/년) = 174두

○ 상재두수 산출

상재두수는 상시 모돈수 174두를 기준으로 사양기술지표, 시설사용지표, 돈방별 소독일수 및 사양관리기준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모돈 174두(주간 8복)에 따른 상재두수>

구분

계산기준

상재

두수

비고

웅돈

174×80%=140두(인공수정)

(174 140)÷17

2

임신돈

모돈수 모돈 회전율 수용일

174두×2.4×(107일+소독3일)÷365

126

스톨

종부대기돈

모돈수 모돈 회전율 수용일

174두×2.4×10일÷365

12

군사

후보돈

모돈수 갱신율 사육일 선발율

174두×0.3×90일÷365÷0.8

16

군사

분만돈방

대기돈방

모돈수 회전율 대기일수 소독일

174두×2.4×〔(7일+21일)+7일〕÷365

40

포유모돈

(포유자돈)

이유자돈

주간단위사육시 분만돈방 사용효율상 이유자돈방을 별도로 구획하지 않음

자돈방

모돈수 회전율 산자수 육성율 사육일수 소독일

174두×2.4×10×0.96×(46+3)÷365

538

육성돈방

모돈수 회전율 비육자돈수 육성율 사육일수 소독일

174두×2.4×9.6×0.985×(53+3)÷365

606

비육돈방

모돈수 회전율 비육자돈수 육성율 사육일수 소독일

174두×2.4×9.6×1×(60+3)÷365

692

○ 설계돈방수의 산출

상재두수에 의한 필요 돈방수는 아래와 같다

<모돈 174두(주간8복)의 상재두수에 의한 돈방수>

구 분

상재두수

돈방규격

수용

두수

필요

돈방수

여유율

설계요구돈방수

실설계

비고

크기

면적

웅 돈

2

9.72

㎡/두

1

2

10%

2

2

모돈

스톨

임신돈

126

2.2×0.65

1.43

1

126

10%

139

140

스톨

군사

대기돈

12

"

3.1

4

3

-

3

3

후보돈(군사)

16

3.1

4

4

10%

4.4

5

분만

돈방

대기모돈

40

2.4×1.7

(내치수)

4.08

1

40

-

40

40

포유모돈

자 돈 방

538

0.3

20

27

-

27

28

2복

육성돈방

606

0.6

20

31

10%

34

36

"

비육돈방

692

0.9

20

35

10%

39

40

"

※ 돈방규격은 축사표준설계도 기준을 적용하였음

자료 : 합리적인 돈사시설, 허문도, 카위시스템 대표

돈사시설의 설계지표, 장홍희, 경상대학교 축산과학부 교수
송 준 익 농학박사 / 축산기술연구소